본문 바로가기

Algorithm/📖Baekjoon138

#2749 피보나치 수 3 # 문제 # 풀이 앞의 9471 피사노 주기 문제에서 피보나치 수열의 성질을 배웠음 1,500,000 개의 나머지를 모두 배열에 넣어놓고 주기에 맞는 나머지를 출력해주면 될 듯 하다! #include #include using namespace std; int len = 1500000; int main() { long long n; cin >> n; vector remainder; remainder.push_back(0); remainder.push_back(1); remainder.push_back(1); for (int i = 3; i < len; i++) { remainder.push_back((remainder.at(i - 1) + remainder.at(i - 2)) % 1000000); } c.. 2022. 4. 8.
#9471 피사노 주기 # 문제 # 풀이 원래 2749번을 먼저 풀고 있었는데 도저히 모르겠어서 구글링해보니 이 문제를 먼저 풀고 2749번 푸는것을 추천하더라 그래서 이문제부터 풀어봤다 이것도 뭔소린지 모르겠어서 구글링했다ㅋㅋㅋ http://melonicedlatte.com/algorithm/2018/08/28/022247.html [백준] 9471번 C/C++ 풀이 _ 피사노 주기 - Easy is Perfect 시간 제한메모리 제한제출정답맞은 사람정답 비율1 초128 MB28321518681.938% 문제1960년, IBM의 직원 Donald Wall은 피보나치 수열을 m으로 나눈 나머지가 주기를 이룬다는 것을 증명했다.예를 들어, 피보 melonicedlatte.com 위 블로그를 보고 이해했음 #include #inc.. 2022. 4. 8.
#1655 가운데를 말해요 # 문제 * 시간 제한도 0.1초로 짧음 단순하게 하나씩 비교하면서 풀면 시간이 더 오래 걸릴 것이기 때문에 우선순위 큐로 구현 우선순위 큐는 힙(heap)을 가지고 구현할 수 있음 출처: https://chanhuiseok.github.io/posts/ds-4/ 자료구조 - 우선순위 큐(Priority Queue)와 힙(heap) 컴퓨터/IT/알고리즘 정리 블로그 chanhuiseok.github.io 이거 보고 했었는데 제대로 안나와서 결국엔 문제자체를 구글링해서 풀었다ㅠㅠ 세시간 동안 뻘짓했네ㅋㅋㅋ 다시 제대로 읽고 풀어본다 일단 자기로 함ㅋㅋ 220508 문제 다시 풀어봄 문제를 완전 까먹고 있다가 어쩌다 보니까 이문제를 다시 풀게됐다 전에는 내가 그냥 위의 블로그 보고 풀기만 했지 백준에 제출은.. 2022. 4. 5.
#12865 평범한 배낭 # 백준 12865 sol) Dynamic Programming(동적 계획법) 처음에 보고 간단할거라 생각했는데 매우 어려웠다ㅋㅋ 구글링 해보니 2차원 배열 선언해서 가치를 하나하나 비교해야 하는 문제였는데 남이 설명해놓은 것을 봐도 이해가 안가서 혼자 정리를 해봤다 아래 블로그 참고 https://gumeum.tistory.com/25 점화식 이해가 제일 어려웠다ㅋㅋㅋ 내가 풀려니까 어떻게 생각해야할지 모르겠더라 dp문제 많이 풀어봐야할듯! 코드도 작성이 매우 힘들었다 결국 블로그 따라 작성한듯 나중에 내가 다시 한번 안보고 풀어봐야겠다! 2022. 4. 3.
#2869 달팽이는 올라가고 싶다 문제 #문제 문제 자체는 어렵지 않다 # 코드 바로 짠 코드는 위와 같은데 주어진 예제 중에 마지막 예제가 시간초과 걸릴 것 같았다ㅋㅋ 그래서 코드를 바꿨다 잠을 자지 않고 최대로 오를 수 있는 높이 만큼을 나무 막대 길이에서 빼놓고 나머지를 며칠만에 오를 수 있는지 계산하면 된다 두번째 예제가 다음과 같은데 v=1, per=4로 v/per하면 소수점이 나오면서 내림 처리돼서 0으로 나오는 문제가 있었다 cmath라이브러리의 ceil을 써도 0으로 나와 무엇이 문제인지 생각해보니 v/per를 먼저 하기 때문에 이미 0으로 처리 된 상태에서 ceil을 하기 때문이라고 생각했다 그래서 소수점 상태에서 ceil하도록 하고 다시 int로 바꿔준다 int로 바꿔주는 이유는 세번째 예제에서 16진수 표기방식으로 출력돼서.. 2022. 2. 13.
#1193 분수 찾기 문제 # 문제 # 코드 # comment 규칙 찾는 것이 어려웠고 / 쓸때 역슬래시 필수는 까먹지 말기 그리고 반복문에서 while(num>0)보단 while(num>k)를 쓰는게 반복문 내에서 if문도 안써도돼서 가독성이 좋아짐 진짜 오랜만에 공부한다,,ㅋㅋㅋ 앞으로 알고리즘은 일주일에 3문제는 풀도록 하쟈,, 몸풀기용으로 앞에 간단한 문제 2개 풀고 1193번 풀려고 하는데 규칙 찾기가 어려워서 구글링의 힘을 빌리고 말았다ㅎ,, 규칙 찾기나 코드짜기 어려웠던 문제들은 기록할 예정 2022. 2.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