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션에 작성해둔 글을 블로그로 옮겨쓰는 중
터미널로 git을 사용하다가 너무 조작이 어려워서 gui를 사용하기로 했다.
예전에 소스트리는 사용해봤는데, 이번에 같은 프로젝트 팀원분께서 fork를 추천해주셔서 fork에 정착했다ㅎㅎ
사용해보니까 매우 편한 것 같음
소스트리를 많이 사용해본건 아니지만 fork가 더 직관적이고 깔끔한 느낌,,
처음에 프로젝트를 연결하려고 하니까 오류가 나서 해결 방법을 공유하고자 한다!
** 깃허브 계정은 연결되어있는 상태로 진행하였음
오류 상황

gui로 프로젝트에 접근하려고 하니까 자꾸 이런식으로 오류가 발생했다
해결 방법
1. 터미널 실행
2. 입력
ssh-keygen

- 키 저장 위치 설정
- 저는 그냥 기본 위치에 저장했습니다~ (그냥 엔터
- 비밀번호 설정
- 개인적으로 사용할 비밀번호
3. 입력
cat ~/.ssh/id_rsa.pub
입력 후 ssh-rsa ~ .local 까지 복사
4. fork에서 configure SSH key 선택

처음에 창이 뜨면 아무것도 없을텐데
- 왼쪽 하단 + 버튼 클릭
- Open Existing SSH Key 선택
- 아까 터미널에서 키 저장한 위치에서 id_rsa.pub 선택
- 오른쪽 하단에 select SSH key 선택

공개키라 괜찮을것 같은데 혹시 몰라서 가림ㅎ
여기서 ok 버튼 누르면 됨
이러면 오류는 해결됨!
아까는 프로젝트 클론이 안 됐는데,, 클론을 해보자
5. 프로젝트 클론
- 레포지토리 url 을 복사해옴
- fork에서 상단 메뉴의 File>Clone 선택
- 링크 붙여넣고, 옆에 HTTPS 대신 git@으로 시작하는 것으로 선택!
- test connection하면 오류 없이 connection succeeded가 뜨면 됨

'etc. > 🌱git' 카테고리의 다른 글
[git stash] 변경사항 일시적으로 저장하기 (0) | 2024.07.16 |
---|---|
[git merge] develop 브랜치 내용을 현재 브랜치에 반영하기 (0) | 2024.07.16 |
[git fetch] 코드 리뷰하기 (0) | 2024.07.16 |
댓글